JSP 용어 정리1
HTTP: 웹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. 요청에는 URL, HTTP 메소드(GET, POST), 파라미터 데이터등이 들어가있다. GET 메소드는 폼 데이터를 URL 뒤에 추가한다. POST 메소드는 요청의 body에 폼 데이터를 포함한다.
TCP: 한쪽 노드에서 다른 쪽 노드로 파일을 전송.
IP: 한 호스트에서 목적지 호스트까지 패킷을 옮기고 이동하기 위한 기반 프로토콜.
CGI: WWW 서버와 서버 상에서 등장하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스크립트와의 인터페이스 폼을 사용한 메일의 송신이나 게임 등 HTML에서는 불가능한 인터렉티브한 요소를 홈페이지에 받아 들여 쓸 수 있다. JSP나 ASP PHP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언어를 이용해서 주로 HTML을 동적으로 만든다.
예) 현재 시간(서버시간)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
1. 사용자는 정적인 페이지가 아닌 CGI 프로그램에 대한 URL을 클릭함.
2. 웹 서버는 들어온 요청이 CGI을 호출하는 것임을 간파하고는,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한다. GET 혹은 POST로 넘어온 파라미터를 그대로 프로그램으로 넘긴다.
3. CGI은 현재 시간이 들어간 페이지를 만들어 서버에 HTML형식으로 넘겨준다. 이 시점에서 웹 서버가 CGI으로 부터 받은 페이지는 정적인 페이지이다.
4. CGI은 프로그램을 종료한다. 클라이언트는 정적인 페이지가 된 HTML페이지를 서버로 부터 받는다.
서블릿: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,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. HTML에 println()을 넣으면 오류가 생기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HTML안에 자바 코드를 작성하는 JSP를 개발했다.